취득세 경정청구 거부처분에 관한 심사청구(소유권 이전등기 후 취득이 원인무효가 된 경우에 구 등록세의 납세의무가 성립하는지 여부)

감심2021-977(20220512) 취득세

[결정요지] 법원의 판결에 따라 이 사건 부동산 매매계약 및 이에 근거한 소유권 이전 등기가 무효화되어 이 사건 취득세 등의 부과 대상인 ‘취득’이 존재하지 않고, 원인무효가 된 이 사건 부동산 등기는 등록면허세 납부 대상이 아니다

[주문] 처분청은 2020. 12. 23. 청구인에게 한 취득세 69,420,020원 및 지방교육세 13,883,990원 등 계 83,304,010원의 경정청구 거부처분을 취소하여야 한다.

[이유] 1. 원 처분의 요지
가. 청구인은 2016. 5. 18.부터 같은 해 6. 28. 사이에 주식회사 □□(이하 “청구 외 법인”이라 한다)으로부터 경상북도 ◎◎군 토지(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를 취득하고, 취득세 계 138,840,050원, 농어촌특별세 계 6,941,990원, 지방교육세 계 13,883,990원 등 합계 159,666,030원(이하 “이 사건 취득세 등”이라 한다)을 신고·납부하였다.

나. 이후 2020. 11. 30. 청구인은 처분청에 법원 판결에 따라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말소등기가 완료되었다며 이 사건 취득세 등의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이하 “이 사건 경정청구”라 한다)를 하였으나 같은 해 12. 23. 처분청은 현행 취득세는 구 ?지방세법?(2010. 3. 31. 법률 제102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지방세법?”이라 한다)의 취득세(이하 “구 취득세”라 한다)와 등록세(이하 “구 등록세”라 한다)가 단일 세목인 취득세로 통합된 것이고, 취득이 원인무효가 되더라도 구 등록세의 납세의무는 성립한다는 사유로 이 사건 취득세 등 합계액 159,666,030원 중 구 등록세(지방교육세 포함)에 해당하는 가액 83,304,010원에 대한 환급을 거부(이하 “이 사건 거부처분”이라 한다)하였다.

2. 심사청구의 취지와 이유
가. 청구 취지
이 사건의 청구 취지는 이 사건 거부처분을 취소하여 달라는 것이다.

나. 청구 이유
법원의 판결로 이 사건 부동산 매매계약이 무효화 되었고, 이에 따라 소유권 이전등기도 말소되어 청구인은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의 납세의무가 없으므로 이 사건 거부처분은 부당하다.

3. 우리 원의 판단
가. 다툼
이 사건의 다툼은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등기 후 취득이 원인무효가 된 경우에 구 등록세의 납세의무가 성립하는지 여부이다.

나. 인정사실
이 사건 관련 기록 등을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인정된다.
1) 청구인은 2016. 5. 18.부터 같은 해 6. 28. 사이에 청구 외 법인으로부터 이 사건 부동산을 세 차례에 걸쳐 취득하고, [표 1]과 같이 이 사건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한 후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쳤다.

2) 2019. 8. 9. 청구인과 청구 외 법인 사이에 진행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말소등기 청구 소송에서 법원은 이 사건 부동산 매매계약은 무효이고, 그에 따라 소유권 이전등기도 원인무효로서 말소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판결1)하여 청구인이 패소함에 따라 청구인은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말소등기를 완료하고, 2020. 11. 30. 처분청에 이 사건 경정청구를 하였다.

———————————————–
주1) 2018. 7. 6. 대구지방법원 선고 2017가합204722 판결로 청구인 패소 (대구고등법원 2019. 4. 3. 선고 2018나23415항소 기각 판결, 대법원 2019. 8. 9. 선고 2019다237432 상고 기각 판결로 확정)
———————————————–

3) 처분청은 2020. 12. 23. [표 2]와 같이 기납부세액 중 구 취득세에 해당하는 가액만 환급하는 등 이 사건 거부처분을 하였다.

(표 – 생략)

4) 구 ?지방세법?이 2010. 3. 31. 법률 제10221호로 개정되면서 구 취득세와 구 등록세가 취득세로 세목이 통합되었고, 통합된 취득세의 세율은 구 취득세와 구 등록세의 세율을 합산한 것으로 조정되었다.

다. 관계 법령
이 사건과 관계되는 법령은 구 ?지방세법?(2016. 1. 19. 법률 제137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개정된 ?지방세법?”이라 한다) 제7조 등 [별지] 기재와 같다. (별지 – 생략)

라. 판단
개정된 ?지방세법? 제7조, 제23조 및 제24조의 규정에 따르면, 취득세는 부동산 등을 취득한 자에게 부과하도록 되어 있고, 등록면허세 납부 의무가 발생하는 ‘등록’에는 취득을 원인으로 이루어지는 등기는 제외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때 ‘취득을 원인으로 이루어지는 등기’에는 그 등기의 원인이 무효인 경우도 포함2)된다.

———————————————–
주2) 대법원 2018. 4. 10. 선고 2017두35684 판결
———————————————–

이와 같은 법령에 비추어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 등기가 이루어진 후 취득이 원인무효가 된 경우에 구 등록세의 납세의무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살펴보면, ① 인정사실 “1)항” 및 “3)~4)항”의 내용과 같이 이 사건 취득세 등은 구 ?지방세법?이 아니라 구 취득세와 구 등록세가 취득세로 통합된 후 개

정된 ?지방세법? 제7조 등의 규정에 따라 신고·납부되었고, 현행 취득세가 구 취득세와 구 등록세의 세목과 세율이 통합된 것이라 하더라도 조세법률주의 원칙상 조세법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문대로 해석할 것이고 합리적인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 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므로3) 이 사건 경정청구도 개정된 ?지방세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하는 점, ② 인정사실 “2)항”과 같이 법원의 판결에 따라 이 사건 부동산 매매계약 및 이에 근거한 소유권 이전 등기가 무효화되어 이 사건 취득세 등의 부과 대상인 ‘취득’이 존재하지 않고, 원인무효가 된 이 사건 부동산 등기는 등록면허세 납부 대상이 아닌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취득이 원인무효가 되더라도 구 등록세의 납세의무는 성립한다는 사유로 한 처분청의 이 사건 거부처분은 잘못이 있다.

———————————————
주3) 대법원 1998. 3. 27. 선고 97누20090 판결
———————————————

4.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심사청구는 이유 있다고 인정되므로 ?감사원법? 제46조 제2항에 따라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Leave Comment